안녕하세요 짠고미입니다 :)
오늘은 건강보험, 고용보험 보수총액신고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보수총액신고는 1년 주기로 매년 3월에 보수총액신고를 합니다. 건강보험은 EDI로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용보험은 고용산재보험 포털에서 신고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보시면서 따라하시면 됩니다.
EDI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 방법

국민건강보험 EDI에 접속하여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주세요.

로그인 후 상단에 전체서식을 클릭해주세요.

사업장 EDI 서비스 창이 새로뜹니다. 문서보기를 클릭해주세요.

문서 파일 중에 직장가입자 보수총액 통보서를 클릭해주세요. 이미 한번 열람했을 경우 조회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파란색 박스에 표시한 '전체'를 클릭하여 검색해주세요.

하단에 근로자를 클릭하면 상단에 성명, 주민등록번호가 뜹니다. 빨간박스로 표시한 부분에 당사자의 전년도 보수총액과 근무월수(입사일 포함)를 입력해주세요.

저는 2020년 귀속분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참고하여 보수총액 신고를 했습니다. 화살표로 표시한 총액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근무월수도 나와있는 근무기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한 명씩 클릭해서 보수월액, 근무월수를 입력 후 엔터를 치시면 하단에 전년도보수총액과 근무월수가 입력되며 수정 부분에 Y로 표시가 됩니다. 빨간박스 표시한 부분입니다.

입력이 완료되면 신고(전송)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5회 분할 적용제외 신청방법

상단에 보시면 5회 분할 적용제외 신청이 있는데 분할 납부가 싫으신 경우에 적용 신청하시면 됩니다.
작년에 이걸 신청안했더니 몇 개월 동안 공제되어 불편하더라고요. 이번에는 적용제외 신청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분할 납부됩니다.

이 부분은 분할 신청하실 경우만 참고해주세요. 보수총액을 작성중에 클릭했더니 임시 저장하지 않으면 입력한 자료가 삭제된다고 합니다. 취소를 누른 후 상단에 임시저장을 클릭해주세요.

사업장 정보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가입자구분엔 근로자, 개인사업장 사용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해당되는 것에 체크 후 상단에 신고(전송)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저는 법인사업장 근로자 보수총액 신고건이라 근로자를 체크하고 신고(전송)버튼을 눌렀습니다.

다시 초기화면에서 직장가입자 보수총액 통보 문서를 클릭하여 들어와서 조회를 클릭해주세요.

그럼 문서조회창이 뜨는데요. 임시 저장했던 목록을 더블클릭하면 아까 저장했던 내용이 그대로 뜹니다.
입력했던 내용이 맞는지 확인 후 상단에 신고(전송)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신고내역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은 초기화면에서 상단에 결과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신청했던 신고문서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고한 직장가입자 보수총액 통보서와 5회 분할납부 적용제외 신청서 내역이 뜨네요. 직장가입자 보수총액 통보서 접수부분에 숫자 5는 제가 5명 신고했기 때문에 나오는 숫자입니다.
파란박스안에 제대로 처리될 경우 정상내역에 뜨고, 오류나 반송사유일 경우 반송내역에 뜨니 며칠 뒤에 꼭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 보수총액 신고를 EDI로 신고할 경우 편리한 점이 이렇게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추후 EDI로 건강보험정산고지내역을 보내주기때문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고용보험 보수총액신고
이번에는 고용, 산재 보수총액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아쉽게도 고용보험 보수총액신고는 EDI로 할 수가 없고 고용산재토탈서비스 사이트에서 신고해야 합니다.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사이트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에 로그인을 클릭해주세요.

사업장을 클릭 후 사업장명의인증서 클릭,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 후 인증서로 로그인해주세요.
사업장이 아닌 경우 해당하는 탭을 클릭하여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로그인하면 이런 화면이 뜨는데요. 보수총액신고를 클릭해주세요.

고용관리/보수관리 비번을 아는 경우 왼쪽, 고용관리/보수관리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오른쪽을 클릭해주세요.

고용관리/보수관리 비밀번호를 사용 안 할 경우엔 대표자나 소속 근로자의 개인인증서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고용관리/보수관리 비밀번호를 아는 경우 비번을 입력 후 조회를 클릭해주세요.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오른쪽 비밀번호 변경을 클릭하여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보수총액신고 화면입니다. 화면 입력방식, 엑셀파일 불러오기 등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인원이 몇 명 안돼서 화면입력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보험년도를 한번 체크 후 사업장관리번호 옆 돋보기를 클릭하여 사업장을 선택해주세요. 아래 작성자명, 연락처를 입력해주세요.

상단에 보수총액신고 대상 근로자가 없는 경우엔 체크박스를 선택하시고 접수하시면 됩니다.
신고할 근로자가 있는 경우 아래 명단이 자동으로 뜹니다. 저의 경우 근로자가 2명이라 2건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부과부호구분은 대상근로자 중 내용에 해당하는 근로자가 있는 경우 맨 앞에 적혀있는 숫자 부호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예시: 차상위계층일 경우 54,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일 경우 58) 해당사항이 없는 경우 비워두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근무지코드는 사업장이 본사외 1개 이상일경우 경우 회색박스에 근무지코드 조회하기를 클릭하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 소속 사업장이 하나인 경우엔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아래 스크롤바 또는 화살표를 눌러 옆으로 이동하시면 산재 연간보수총액, 고용 연간보수총액을 입력하는 칸이 보입니다. 위에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를 했던 것처럼 원천징수영수증을 참고하여 보수총액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에 해당하는 근로자가 있는 경우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없는 경우 빈칸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정산보험료를 일시납 할 경우 일시납 신청 앞 박스에 체크해주세요.
과납보험료 충당신청서는 과납된 산재,고용 보험료가 있는 경우 앞으로 낼 보험료에서 징수 or 충당할지 동의 또는 거부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체크가 끝나면 임시저장 버튼을 누른 후 신고자료 검증을 클릭해주세요.
오류가 뜰 경우 등록했던 내용에 노란색으로 표시가 뜹니다. 내용을 확인 후 수정을 하신 후 다시 검증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상 없는 경우 접수를 클릭해주세요.

확인을 클릭해주시면 완료입니다.

마이페이지에서 왼쪽 보수총액신고 및 보험료신고 접수현황을 클릭하시면 접수가 잘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진행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접수된 상태이며 추후 잘 처리되는 것까지 체크하시면 됩니다.
이상 건강보험, 고용산재 보수총액신고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라이브 원스데일리 멀티비타민 솔직후기 (1) | 2021.03.16 |
---|---|
통신판매업 폐업신고 방법(초보가능) (0) | 2021.03.04 |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쉽게 변경,분실,찾기 (0) | 2021.02.16 |
사업자등록증 업태,종목 추가 정정신고 및 서류 (0) | 2021.02.02 |
4대보험 취득신고 방법, EDI로 쉽게 직접 하기 (0) | 2021.02.01 |